소개

죽염
죽염은 놀라운 환원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산화돼서 힘을 잃은 물질들을 다시 원래 상태로 되돌려주는 능력이 탁월하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실험 결과, 정제소금이나 천일염보다 죽염의 환원력이 가장 높았고, 굽는 횟수가 많아질수록 그 힘도 더 강해졌습니다. 몸속 밸런스를 되찾고 싶다면, 명품 소금, 죽염으로 바꾸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자연의 본질을 깨우는 죽염의 힘

과정은 바닷소금에 대나무를 결합하고 황토를 바른 뒤, 소나무 장작으로 굽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이렇게 구워낸 소금은 곱게 갈아 다시 대나무에 담고, 소나무 장작으로 아홉 번 반복해 구워냅니다. 그리고 마지막 아홉 번째 구움에서는 1,700℃의 고온에서 녹이며 마무리됩니다.

  • 1. 서해안 천일염 염전

    서해안에서 들여온 바닷소금은 옹기 항아리에 담아 창고에서 3년간 숙성됩니다. 이 기간 동안 소금 속 중금속 성분이 포함된 간수가 서서히 배어나오며 자연스럽게 정제됩니다.

  • 2. 소금물 제거

    바닷소금에서 추출된 간수는 정해진 절차에 따라 적절히 처리됩니다. 소금 안에는 아직 완전히 빠져나가지 않은 잔여 간수와 중금속이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고온의 열처리를 통해 철저하게 정제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 3. 지리산에서 자란 왕대나무

    굵은 국내산 대나무를 골라 잘라낸 뒤, 마디 부분을 다듬어 원통형으로 만듭니다. 대나무는 구조 속에 자연 유래의 황 성분을 품고 있어 죽염 공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4. 분쇄한 소금을 대나무 통에

    간수를 제거한 바닷소금을 대형 용기에 넣을 때는, 내부에서 소금을 충분히 부수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이 작업은 기계로 처리하기 어려워, 손으로 직접 넣고 눌러 부숴야 합니다.
  • 5. 황토로 대나무 기둥 덮기

    용기 안의 소금을 충분히 부순 후, 오염되지 않은 산지에서 가져온 황토로 유연한 혼합물을 만들어 용기의 입구를 봉합니다. 그 다음, 이 용기는 천일염 전용 철제 가마 안에 정성스럽게 쌓아 올립니다.

  • 6. 소나무 장작을 이용한 첫 번째 굽기 과정

    죽염을 굽는 데에는 반드시 소나무 장작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별히 제작된 가마에서 소나무 장작을 정성스럽게 관리하는 이유는 강하고 일정한 화력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소나무의 유효 성분과 쇠 가마에서 나오는 철의 기운이 용기 안으로 효과적으로 스며들게 됩니다.
  • 7. 소금기둥

    가열이 계속되면서 용기는 결국 재로 변합니다. 이 과정 전반에 걸쳐 대나무와 대나무망의 유익한 성분과 정수가 소금 속으로 스며듭니다. 황토는 단단히 굳고, 소금은 견고한 기둥 형태로 변화합니다.

  • 8. 분쇄기로 불순물 제거하기

    첫 번째 굽기 과정을 마치고 생성된 ‘소금 기둥’은 분쇄기에 넣어 가루로 만듭니다. 이 단계는 이후 두 번째부터 여덟 번째까지의 굽기 과정을 준비하기 위한 절차입니다.

  • 9. 고온 처리

    첫 번째로 장작불에 구워낸 소금을 곱게 갈아 다시 용기에 담고, 황토로 봉한 뒤 철제 가마에 차곡차곡 쌓아 소나무 장작불로 다시 구워냅니다. 이 과정을 총 여덟 번 반복한 후에야, 비로소 아홉 번째 고온 용융 단계로 넘어갑니다.

  • 10. 고온에서 죽염 용융하기

    가장 중요한 아홉 번째 고열 공정에서는 수천 도의 열을 견딜 수 있도록 특별히 설계된 전용 가마가 사용됩니다. 이 가마는 대당 약 2억 원에 달하며, 수명은 보통 2~3년입니다. 정기적인 교체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설비 운용이 해염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높은 비용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 11. 불순물 제거

    1,700도 이상의 고온으로 온도를 끌어올리면, 바닷소금은 마치 금속처럼 펄펄 끓으며 완전히 녹아내립니다. 이 과정에서 소금 속에 남아 있던 미세한 불순물들까지 모두 제거되는 것으로 전해집니다.

  • 12. 죽염 완성 및 포장

    고온으로 용융된 죽염은 하루 동안 식히면 단단한 고체 형태로 굳어집니다. 이때 돌처럼 단단하게 굳은 죽염 덩어리의 바닥면은 검게 탄 부분을 제거하고, 나머지는 갈아내어 고체형 죽염과 분말형 죽염으로 가공한 뒤 포장됩니다. 첫 번째 굽기부터 아홉 번째 고온 용융, 그리고 가공까지, 이 전 과정은 총 25일에 걸쳐 이루어집니다.

죽염의 과학적 진수, 자연이 선사한 비밀

  • 인산가 죽염: 안전한 물질 - 하버드 의과대학 다나-파버 암연구센터

    1995년, 미국 하버드 의대 산하의 다나-파버 암연구소에서 테이커 박사는 인산가의 9회 죽염이 몸에 해가 되는지, 그리고 암세포 억제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실험했습니다. 실험에서는 쥐에게 인산가 죽염을 체중 1kg당 140mg씩 하루 동안 먹였는데, 체중이 75kg인 사람 기준으로 하루 150g에 해당하는 아주 많은 양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체중 감소나 장기 손상 같은 독성 반응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위나 장 점막에도 손상이 없었고, 이는 죽염이 매우 안전한 소금이라는 뜻입니다. 이어서 암세포 억제 효과도 실험했는데, 쥐에게 4일에서 14일 동안 같은 양의 죽염을 먹인 결과 암세포의 성장을 어느 정도 억제하는 효과가 확인되었습니다. 항암제인 멜팔란이라는 약의 항암 효과 수치가 2.3인데, 인산가 죽염을 하루 30g 정도 꾸준히 섭취하면 이와 비슷한 수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그렇게 많은 양을 먹어도 인체에 해가 없고, 위장에도 부담을 주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인산가의 9회 죽염은 다양한 미네랄이 들어 있는 알칼리성 소금이며, 하루 10g에서 30g 정도 섭취하는 것은 미국 영양 권장량 범위 안에 있기 때문에, 일상 속에서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건강한 소금이라는 점이 이 연구를 통해 과학적으로 확인된 것입니다. 이 연구는 인산가 대표 김윤세 회장의 의뢰로 진행되었고, 실험에 사용된 소금은 인산가의 9회 구운 오리지널 죽염이었습니다.
  • 죽염, 약학적 기준에서 무독성 및 안전성 확인 — 아산생명과학연구소 이재양 박사

    2010년, 인산가는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과 함께 죽염의 유전 독성 안전성 검사를 진행했습니다. 유전 독성이란, 세포나 유전자에 해를 줄 수 있는 성질을 말하며, 이로 인해 돌연변이나 손상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검사를 통해 안전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먼저, 인산가 죽염을 사용해 5종의 균에 대한 돌연변이 검사를 했고, 어떤 균에서도 이상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다음으로는 세포 염색체에 이상이 생기는지 확인했는데, 죽염을 처리한 세포들과 비교해도 문제가 없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마지막으로는 설치류(쥐)의 적혈구를 통해 유전자 손상이 있는지 확인했으며, 고농도 죽염을 사용했음에도 안전한 수준이었습니다. 

    이 모든 실험 결과는 인산가 죽염이 몸에 해를 주지 않고,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소금임을 과학적으로 증명해줍니다.